정부 지원금 모두 찾아서 받기 : 조회 사이트, 신청 방법, 종류 등
아무래도 '정부지원금'이란 단어를 들으면 코로나 정부지원금이 먼저 생각난다. 최근에 참 코로나로 인한 피해가 많아서 정부 지원금을 받을 일이 많았다는 것은 좀 씁쓸한 일이었던 것 같다.
오늘 이야기 할 정부 지원금은, 코로나보다는 그 외에 받을 수 있는 지원금에 대해서다. 개인적으로는 대학생 때부터 국가장학금 등 국가에서 보조해주는 것들에 대해 자주 검색하고 찾아봤었고 실제 받은 혜택도 많다. 직장인이 되고나서 부터는 내게 해당되는 지원 종류가 많지 않았는데, 가장 친한 친구는 '청년내일채움공제'을 신청하여 중소기업에 다니면서 2~3년 근속하며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 후, 납입금 대비 5배 이상의 목돈을 돌려받는 지원을 받았다. 나는 최근 코로나로 인해 회사가 영향을 받으면서 '내일배움카드'로 200만원을 지원받으며 혜택을 보았다. 나는 청년에 해당되서 이러한 혜택을 받을 수 있었는데, 이 뿐만 아니라 영유아 청소년 청년 중장년층 광범위한 지원금이 참 많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알고보면 국가에서 생각보다 받을 수 있는 지원이 참 많다. 모르면 못 받고 알면 받을 수 있는 모든 정부 지원금을 찾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본다.
< 목차 >
1. 정부 지원금 조회 - '정부24' 홈페이지
2. 보조금24 이용하기
3. 보조금24 간편 찾기 - 세부 내용 설정하기
4. 나의 보조금 결과 확인
5. 보조금 신청 방법
1. 정부 지원금 조회하려면 ? 정부24 홈페이지
먼저 정부24 홈페이지에 들어간다.
https://www.gov.kr/portal/main
2. 보조금24 이용하기
1/ 상위 메뉴에서 '보조금24'에 마우스를 가져간다.
2/ 하위 메뉴로 네가지가 뜨는데, 여기서 '간편 찾기'을 눌러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을 확인한다.
3/ 하지만, 바로 조회할 수는 없고 본인인증을 거쳐야한다. 아무래도 간편인증이 요즘 편리하게 되어있다. 눌러서 아래 오른쪽 화면과 같은 보기중에 본인이 편한 것으로 인증을 완료하면 된다.
4/ 본인인증 이후에는, 이용동의하기를 한번 더 거쳐야한다. 개인정보집 관련하여 이용동의 진행한다.
5/ 이용동의 진행 후에 다시 보조금24 -> 간편찾기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나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제시하는 거주지가 나의 거주지와 일치하지 않아서 '아니오'를 누르고 아래에서 지역을 새로 찾아서 설정했다.
3. 보조금24 간편 찾기 - 세부 내용 설정하기
1/ 나의 개인 특성, 가구특성, 소득정보를 선택한다.
4. 나의 보조금 결과 확인
위의 간단한 설정이후 다음으로 넘어가면, 바로 내가 받을 수 있는 보조금 리스트라 아래와 같이 나온다.
임의로 소득 수준도 조금 낮게했고,
무주택자로 선택했더니 무려 22개의 혜택이 있었다.
몰랐던 지원 혜택이 많아서 깜짝 놀랐다.
아무래도 무주택자 관련 혜택이 많았고,
청년을 위한 보조와 여성을 위한 혜택,
그리고 회사 근로자들을 위한 혜택도 있었다.
5. 보조금 혜택 신청 방법
정부24 - 보조금24에서는 대부분 신청할 수 없고 조회만 가능하다. 신청과 관련된 내용은 각 혜택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예시)
1/ 관심있는 혜택을 골라서 클릭한다
2/ 페이지 아래로 스크롤하면 신청하는 방법과 제출 서류, 그리고 문의할 기관도 자세히 나와있으니 참고하여 신청한다.
여기까지, 정부 지원금 조회에 대해 알아보았다.
정말 생각보다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꼭 조회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혜택이 있다면 신청해서 받으시길 바란다.
'실용적 >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건강검진 A to Z : 대상자 조회, 일반검진, 과태료, 병원조회, 연기 등 (0) | 2022.03.15 |
---|---|
2022 전기차 보조금 + 장점, 충전소, 충전비용 총정리 (0) | 2022.03.07 |
주차 위반 과태료 조회, 금액, 납부 (0) | 2022.03.06 |
약국 검색, 24시 약국 찾기, 일요일 약국, 영업시간, 코로나 진단키트 구입+가격 (0) | 2022.03.05 |
2022 제20대 대통령 선거일 모든 것 : 투표일 / 시간 / 투표 나이 / 장소 / 사전투표소 / 사전투표일 (0) | 2022.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