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말 정산 간소화 서비스, 기간, 미리보기, 환급금 조회방법 총정리

작심솜일 블로그 2022. 1. 11.
반응형

 

 연말 정산의 시기가 다시 돌아왔다. 머릿 속이 분주해지는 사람이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참 귀찮긴 하지만 직장인도 자영업자도 반드시 해야하는 연례 행사이며 또 '잘' 하는 사람들은 환급도 더 받는다는데, 나는 그게 뭐라고 연말 정산이라는 것을 해내는 것만도 버거운 사람이기에 매년 간단하고 급하게 데드라인에 맞춰 완성 해왔었다. 이제 나도 직장인 7년 차에 접어드는 만큼, 제대로 연말 정산에 대해 이해하고 적당한 선에서 더 이로울 수 있는 방법을 공부했고, 나와 비슷한 분들이 많은 것이라고 생각해서 이렇게 포스팅하게 되었다. 

꿀팁들에 대한 이야기도 있으니, 부디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목차>
연말 정산이란? 
신고, 납부 기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방법 / 지급일
연말정산 인적 공제 

 

 

연말정산 이란?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자, 먼저 연말 정산에 대해 알아보자. 가장 만만한 네이버 지식백과에 물어보았다.

 

간단하게 말해보면, 1년 동안 국세청에서 가져간 내 세금을 연말에 다시 전부 따져보고,

나한테서 가져가야하는 세금보다 더 많이 국가가 가져갔다? -> 그럼 나에게 다시 돌려주고,

가져가야할 세금보다 덜 가져갔네? -> 그럼 그동안 내가 덜 지불한 세금을 국가에서 더 가져간다 !...

 

대부분 전자이길 바라며 연말정산 하겠지.

그래서 '13월의 월급'이라는 얘기가 있다. 

 

 

 

연말정산 신고 납부 기간

2022년도 신고 납부 기한은 2022년 3월 10일(목) 까지 

납부 기간은 지금 내가 포스팅하는 시점으로부터는 두 달 정도 남았다.

이제부터 슬슬 마음의 준비를 하고, 15일부터 시작하면 되겠다.

왜냐? 간소화 서비스는 2022년 1월 15일에 오픈한다. 간소화 서비스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간소화 서비스란?
납세자가 편리하게 연말 정산을 할 수 있도록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간소화 서비스는 생긴지 오래 되진 않았는데,  이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참 연말정산이 비교적 간단해졌다고 느낀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먼저 홈텍스 홈페이지( http://hometax.go.kr )에 들어가서, 왼쪽 아래에 보이는 간소화 서비스 버튼을 누른다.

 

그런데 기억! 간소화 서비스 2022년 1월 15일 오픈한다. 이제 곧 오픈을 앞두고 있으니 빨리 해야 마음이 놓이시는 분들은 1월 15일에 바로 진행하시면 된다. :) 

 

 

 

나를 포함한 대부분 직장인들이 연말 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바탕으로 세금을 신고하지만, 만약 해당되는 것이 있으나 간소화 서비스에 없는 항목을 제출하지 않는다면 세금을 덜 환급받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간소화에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은 부분이 한번쯤 확인해보고, 연말정산을 진행하길 바란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란? 
공제 항목별 절세할 수 있는 정보와 개인별 신용카드 등의 내역을 정리하여,
연말 정산의 절세 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즉, 미리 나의 지갑 사정을 정리하여 올려주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연말 정산에서 세금을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서비스다.!

이리 스마트할수가.

 

아 그리고, 나는 미리보기 서비스와 환급금 조회 방법이 또 다른거라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미리 나의 환급금을 조회 할 수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연말정산 간소화'가 2022년 1월 15일에 열리고 나면, 주어진 간소화 자료로 더 빨리 내 환급금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다룰 내용)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지난 2021년 10월 30일에 오픈되었다고 한다. 그동안의 미리보기를 통해 연말정산까지 계획 수립을 도와준다는데, 진작 못 본 것이 약간 후회되는군 ㅎㅎ 

 

 '미리보기'란, 지금까지 사용한 공제 사항들을 모두 정리해주고 연말 정산 금액을 산정해 볼 수 있는 곳 

이에 더해서 11월,12월 내가 예상되는 지출이나 계획하고 있는 지출 방법 + 공제 사항을 적어 넣으면 최종 나의 연말 정산 금액이 나온다고 한다. 

따라서 11월, 12월에 이렇게 쓰면 어떨지 저렇게 쓰면 어떨지 기입을 여러 방향으로 해보고 나서 11월 12월 지출 계획을 세울 수 있음!

 

미리미리 이렇게 스마트하게 확인 하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사실이 참 좋다. 이번에 조금 늦었다면 내년에는 이같은 서비스도 꼭 미리 이용하자! 

마찬가지로 홈텍스( http://hometax.go.kr )로 들어가서 자주찾는 메뉴를 보는데, 여기 없다면 오른쪽 '+등록'으로 들어가서 '연말정산미리보기'를 클릭하고 추가해서 들어가보면 된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 / 지급일

 

앞서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이것저것 필요한 내용을 기입해 넣으면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는데, 사실 그것 보다도 2022년 1월 18일부터 서비스하는 '편리한 연말정산'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1/ 국세청홈택스 홈페이지 오른편 메뉴바에서 가장 위의 'My홈텍스'를 누른다.  

 

2/ My홈텍스는 로그인을 하면 이렇게 내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모아서 볼 수 있다.

왼쪽 메뉴 바에서 '연말정산,지급명세서'를 누르고, 하위 메뉴 중에 '연말정산 소득 세액공제 자료 조회'를 누른다.

 

3/ 이곳에서 귀속년도를 2021년도로 설정하고 ( 2021년도 자료 조회는 2022년 1월 15일 오픈 예정)  아래 나의 소득, 세액 공제 자료를 전부 클릭하여 확인한다. -> 메모해두거나 캡쳐하거나 사진을 찍어두고 이제 다음 스텝으로 가야함!

 

4/ 다시 국세청 메인 페이지로 돌아간다. 오른편 아래에 '세금모의계산'을 누른다

5/ '연말 정산 자동계산'을 찾으면 그 아래 작게 '연말정산 자동계산하기(화살표)'가 있다. 이 작은 네모 상자를 누른다!

6/ 누르면 2015년부터 2021년도 까지의 자동계산이 쭉~ 나오는데, 우리는 '2021년 자동계산'으로!

7/ 자료는 기입되어 있지 않으니, 가장 먼저 확인했던 '연말 정산 소득 세액 공제 자료' 속에 있던 내용을 '총급여, 기납부세액 수정'을 눌러 새로 생기는 창에 기입한다. 

8/ 아래와 같이 창이 나온다. 해당 사항 넣고 적용하기!

 

 

 

9/ 나는 급여 및 예상세액을 임의로 2천만원으로 넣었고, 적용하면 알아서 나머지 사항들이 계산되어 창에 나타난다.

이제 그 아래 '소득공제'부분이 중요하다. 앞서 확인한 공제 내용들을 각각 항목 옆에 있는 '+수정'을 눌러 기입한다. 

바로 옆에 '소득공제액'이 얼마인지도 기입되어 있으니, 궁금하다면 여기서 확인하자.

 

10/ 전부 '수정'을 통해 기입한 후, 아래 '계산하기' 누르고 ->  '계산결과 상세보기'를 누르면 상세 창이 뜬다.

11/ 새로운 창에서 가장 아래 보면, '* 고객님의 추가 납부 세액은~ ' 부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곳에 ' - 50,000원 ' 이라고 뜬다면 5만원을 돌려받는 것이고, 그냥 '50,000원' 이라고 적혀있으면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끝.!

 

연말 정산 환급금 지급일

환급금 지급일?
2022년 2월 28일까지 연말 정산을 했다면,
더 내야하는 세금이나 환급금액 모두 3월 급여에서 정리가 된다.
하지만 마감일이 3월 10일까지이기 때문에, 본인 연말정산을 3월에 마무리한다면
4월 급여에서 정리 된다. 



연말정산 인적 공제

+ 인적 공제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표를 확인하자. :-)

출처 : 국세청

 

 

 

모두들 연말 정산 야무지게 하시고, 환급금도 많이 많이 받길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